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전세2

임대인이 간과하기 쉬운 법인임차인의 문제점과 예방 팁 참... 아이러니한 상황이네요.사람은 마음가짐에 따라서, 행동이 달라지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지금 저는 법인임차인으로 살고 있는데요.회사 숙소에 살고 있는 셈이죠. 회사 근처 아파트를 회사가 전세로 계약을 하고, 제가 거기에 들어가서 사는 개념이에요. 임대업을 하는 사람이라면, 아실 겁니다.이러한 세입자 형태를 법인 임차인이라고 부르고 있죠. 일반적인 개인하고 계약하는 게 아니라, 회사 하고 계약을 하는 거예요.그러기 때문에 개인으로써 보장받는 임대료 5% 상한선이라던가,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상승장 때는 유리한 면이 없지 않아 있죠. 전세금 또는 월세금액이 계속해서 올라갈 테니까요.그러면 5% 상한선에 묶이지 않고, 시세에 따라서 계속 올릴 수 있는 개념입니다. 그런데 좋은 점만.. 재테크/부동산 2025. 7. 8.
부동산 전세, 월세 계약 시 주의사항 3가지 정리, 모르면 사기당하기 쉽다. 부동산 계약 관련해서 질문을 들어보면, 공통점이 있더라고요.바로 순서를 지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요. 사전에 확인해야 할 것이 있는데, 확인하지 않고 먼저 가계약금이든 계약금이든 보낸 경우입니다. 이미 일이 다 벌어진 뒤에, 큰일 난 것을 인지하시더라고요.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면 정말 좋은데, 해결하지 못하거나 아니면 손해를 봐야 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많은 질문과 답을 해드리면서, 공통적으로 나온 부분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계약은 직거래 말고 공인중개사를 통해서 하는 것이 안전하다 저는 생각지도 못했던 일입니다. 매매를 직거래로 한다는 것을요.보통 부동산 매매를 직거래하는 대다수의 경우는 아래의 경우입니다. 매도매수자 서로 친인척인 경우아니면 믿을만한 지인인 경우 공통점이 다.. 재테크/부동산 2024. 7. 11.